분류 전체보기 71

[Winter Blog Challenge] CameraX를 통한 사진 프리뷰 구현하기 (Member 강신영)

안녕하세요! GDSC 5기 멤버 강신영입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구현하다 보면 카메라 기능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물론 핸드폰에 되어있는 카메라 앱을 연결하여 넘어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행되는 앱 내부에서 진행되어야 할 경우도 있는데요 이럴 때 CameraX를 통해 구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CameraX는 Jetpack 라이브러리로 Android 5.0(API 21)이상에서 지원합니다. 이제 CameraX를 사용하기 위해 기본 설정을 해주겠습니다. build.gradle에 들어가 종속 항목을 추가해줍니다. dependencies { def camerax_version = "1.1.0-beta01" implementation "androidx.camera:camera-core:${camerax..

[Winter Blog Challenge] 즐거운 코딩생활을 만들어주는 Visual Studio Code(VSCode) 확장프로그램 추천 (Member 이가인)

안녕하세요. GDSC SSWU 5기 Member 이가인입니다. 다들 구글 솔루션챌린지로 코드를 오랜시간 바라보고 계실텐데요, 오늘은 즐거운 코딩생활을 만들어주는 Visual Studio Code(VSCode) 확장프로그램 3개를 추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천에 앞서서 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설치방법은 간단합니다. Visual Studio Code(VSCode)를 실행시키고 동그라미 부분을 클릭한 후 검색창에 확장프로그램명을 검색한 후 설치하면 됩니다. 자 이제 본격적인 확장프로그램 추천을 시작하겠습니다. Prettier - Code formatter Prettier - Code formatter https://marketpl..

[Winter Blog Challenge] CNN 모델 설명 & 종류(Member 신하령)

안녕하세요! GDSC Sungshin University Member 신하령입니다. 오늘은 평소 제가 관심 있었던 딥러닝 CNN모델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종류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CNN 개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의 약자로 합성곱 신경망이라고 불리는 딥러닝 모델입니다.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자연어 처리,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2. CNN 특징 인간의 시신경 구조를 모방한 기술 특징맵을 생성하는 필터까지도 학습이 가능해 비전(vision) 분야에서 성능이 우수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해 패턴을 찾는데 특히 유용 데이터를 직접 학습하고 패턴을 사용해 이미지를 분류 이미지의 공간 정보를 유지한 채 학습을 하는 모델..

[Winter Blog Challenge] text를 말로 읽어주는 api 구현하기(Member 김민주)

안녕하세요. GDSC SungShin Member 김민주입니다. 😸 이번에는 text를 말로 읽어주는 기능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능은 음성만 듣고 정보를 획득하거나, 부득이하게 조작을 하지 못할 경우 자동으로 읽어주는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이 됩니다. 물론, 직접 눈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시각장애인 분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또한 문맹률이 낮은 나라의 경우 의사소통은 되지만 읽지를 못해서 정보 획득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번 solution challenge에서 이 기능을 사용하게 되어 소개 해드리려 합니다. 이는 전세계의 문맹 지도입니다. 현재는 한글 교육을 많이 받아서 문맹률이 거의 세계 꼴찌로 글을 못 읽는 사람이 없습니다. 하지만 1945..

[Winter Blog Challenge] Figma가 어색한 개발자들을 위한 간단한 Figma 활용 팁(member 심지영)

안녕하세요 GDSC 5기 멤버 심지영입니다.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디자이너분들로부터 UI 디자인이 담긴 Figma 파일을 받게 될 때가 많습니다. 저는 윈터 블로그 챌린지를 통해 Figma 디자인을 코드로 작성할 때의 활용 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1. 피그마 레이아웃을 코드로 작성할 때의 팁 첫 번째는 UI 디자인을 그대로 코드로 작성할 때 알아두면 유용할 팁입니다. 1-1. 요소의 절대적인 값을 확인하고 싶을 때 : 요소를 클릭하고 우측 상단의 Design 부분을 보면, 요소의 절대적인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H는 요소의 가로,세로의 크기를 의미하고, X,Y는 시작점으로부터의 가로 세로를 의미합니다. 1-2. 요소의 상대적인 값을 확인하고 싶을 때 : 기준이 될 요소 하나를 클릭..

[Winter Blog Challenge] Notion 캘린더 앱 론칭 소식(Member 이소민)

안녕하세요~ GDSC SSWU member 이소민입니다! 다들 겨울방학 잘 지내고 계신가요?! 아마 구글 솔루션 챌린지를 진행하느라 바쁘실 것 같은데요 ㅎㅎ 다들 협업하면서 ‘노션’어플을 많이 활용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 솔루션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노션을 활용하지 않아도 다른 팀 프로젝트를 하게 된다면 반드시 한 번쯤은 사용해봤을 거라 생각합니다. 지난 1월 노션에서 ‘노션 캘린더’를 론칭했다고 합니다. 노션 내에 캘린더 기능이 업데이트 된 것이 아닌 아예 새로운 서비스로 론칭된 것이라고 합니다. 아마 각자 구글캘린더나 휴대폰 캘린더 등 각자의 방식대로 스케줄을 관리하고 있을 것 같은데요! 오늘 저는 새로운 노션의 서비스인 ‘노션 캘린더’에 대해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스케줄링 기능] 다른 사람..

[1월 정기세션] Database

안녕하세요! GDSC Sungshin 교육팀 김도은입니다! 1월 정기세션에서 교육팀은 ' Database '라는 주제로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Database basic, Transaction, Database Lock 순으로 진행했습니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원칙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데이터가 전송, 저장, 처리되는 과정에서 변경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무결성, 인증/인가되지 않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안정성, 데이터 양, 사용자의 양에 따라 유연하게 scale out, scale up 대처를 할 수 있는 확장성이 있습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RDBMS는 관계형 데이..

[11월 정기세션] Google의 기술 소개와 사용법

안녕하세요! GDSC Sungshin 교육팀 김나은입니다! 11월 정기세션에서 교육팀은 ' Google의 기술 소개와 사용법 '이라는 주제로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GDSC에서 활동하면서 사용하게 될 구글의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는 1: GCP 2: BARD-API 사용법 3: Kubernetes 로 구성했습니다. GCP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글에서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기업이나 개발자가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분석, 기계학습, 스토리지 등을 구출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강력한 인프라, 다양한 기술 스택, 그리고 빠른 개발 및 배포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징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 컴퓨팅, 스토리지, ..

[Winter Blog Challenge] Kotlin 스터디 후기(Core 이누리)

안녕하세요 GDSC Sungshin University 기획팀 core 멤버 이누리입니다. 저는 이번 Winter 블로그 챌린지에 제가 공부했던 Kotlin에 대하여 이야기하려 합니다. 먼저 Kotlin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Kotlin 이란 이해하기 쉽게 말하여 자바의 상위호환 버전입니다. 자바를 만든 회사인 JetBrains에서 2011년에 공개한 언어로 자바보다 더 간결하고 많은 기능을 추가한 언어입니다. 왜 자바 대신 Kotlin을 개발하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여러 개가 있지만 우선, 자바와 호환된다는 점입니다. 자바 코드를 이용하여 코틀린 코드를 호출할 수도 있으며, 기존에 자바로 코딩된 프로그램을 코틀린으로 바꾸는 것 또한 가능합니다. 100프로 호환이 되는 큰 장점이 있습..

[Winter Blog Challenge] 언어 생성 AI(Member 민서연)

안녕하세요 GDSC Sungshin 23-24 멤버 민서연입니다 저는 언어 모델 기반 생성형 AI 기술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생성형 AI 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텍스트, 비디오, 오디오 및 이미지 등 기존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한 콘텐츠를 새롭게 만들어 내는 인공지능 기술을 가리키며 기존 데이터와의 비교 학습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분야 생성형 AI 최종 산출물에 따라 1. 언어 생성 모델 2. 이미지 생성 모델 3. 음성 생성 모델 4. 비디오 생성 모델 5. 게임 생성 모델 및 3D 생성 모델 등 기타 생성 모델로 분류되는데요, 저는 그 중 언어 생성 모델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언어 생성 포델에서는 차연어 처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